운항승무원 2

DA / MDA

- DA ( DECISION ALTITUDE ) : 결심고도, 정밀계기접근 중 육안으로 참조물을 계속하여 식별하지 못하는 경우에 실패 접근을 시작하여야 하는 특정 고도 - MDA ( MINIMUM DESCENT ALTITUDE ) : 최저 강하 고도, 시각 참조물 없이 강하할 수 없는 비정밀 및 선회 접근 시 적용되는 해수면으로부터의 특정 고도 # 기본적으로 ALTITUDE는 고도를 뜻하고 HEIGHT는 높이를 뜻한다. 고도는 평균 해면을 기준으로 하는것이지만, 높이는 어디를 기준으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. 여기서 헷갈리는 부분이 ICAO 와 FAA 가 서로 MDH를 정하는 기준이 다르다. 1) FAA : DH / MDH 모두 HAT 기준 2) ICAO : DH는 HAT 기준, MDH 는 HAA..

EDTO ( EXTENDED DIVERSION TIME OPERATION )

- EDTO ( EXTENDED DIVERSION TIME OPERATION ) : 쌍발 이상의 터빈엔진 비행기 운항 시, 항로상 교체공항까지의 회항시간이 운영국가가 수립한 기준시간 ( THRESHOLD TIME )보다 긴 경우에 적용하는 비행기 운항 - THRESHOLD TIME : 항로상 교체공항까지의 거리를 운영국가가 설정한 시간으로 표시된 거리를 말하며, 이 시간을 벗어나 운항하고자 하는 경우 운영국가로 부터의 EDTO 승인을 받아야 한다. => 이것이 우리가 항로상 교체공항 2 ENG 1시간, 3 ENG 이상 3시간으로 외웠던 것 => 위 시간 내에서만 운항 할 시 NON-EDTO 운항 => 이 시간을 초과하면 반드시 EDTO 승인을 받고 운항해야함, 아니면 운항 불가능 ( 단, 3 ENG 이상..